<강릉 대공산성 산행기>
*코스:강릉시 성산면 보현사 입구-임도-어명정 갈림길 쉼터-대공산성-대공산성 정상(서문)-곤신봉 아래원점 회귀
*거리:편도 3.7km(왕복 7.4km)
*산행시간:2시간30분
*일시:2016년 10월 14일 오후
오랜만에 강릉 대공산성 등산로를 다녀왔습니다.
강릉시 성산면에 있는 '대공산성'은 여늬 산 처럼 '00봉','00산'으로 일컬어지지 않고 그냥 대공산성(大公山城)으로 불리는 등산로 입니다.
산 정상부에 비교적 규모가 큰 산성이 옛 모습을 잘 간직한채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대공산성 등산로는 잘 알려진 곳은 아니지만, 금강송 군락과 산성,풍차 초원 등 다양한 풍경을 만나는 재미가 쏠쏠한 곳 입니다.
그리 붐비지 않는 숲길을 호젓하게 걷는 재미도 대공산성 등산로의 장점입니다.
오후에 시간이 나갈래 후딱 다녀오자 생각하고 찾아갔더니 산 정상부가 울긋불긋 물들기 시작했네요.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그냥 2-3시간 짬에 서둘러 다녀오려던 등산이 맛배기 단풍 산행이 됐습니다.
그런데 대공산성의 단풍은 아주 현란하지는 않고, 그냥 은은한 정도네요.
단풍 산행을 많이한 산객들의 눈으로 볼 때는 밋밋하다고나 할까요.
그 밋밋함을 산성과 소나무,풍차가 채워주네요.
대공산성 등산 때는 가급적이면 산성 정상부를 지나 곤신봉이 있는 백두대간 마루금까지 가 볼 것을 권합니다.
산성 정상부에서 10-15분 정도만 더 올라가면 백두대간 마루금 능선을 만날 수 있는데, 그곳의 경치가 또한 일품입니다.
대관령-선자령-곤신봉-매봉-소황병산-노인봉으로 이어지는 마루금 능선은 드넓은 초원에 거대한 풍차 바람개비가 줄지어 서 있는 이국적 풍광을 자랑합니다.
임도를 따라 수백m를 걷다가 왼쪽으로 다시 대공산성으로 오르는 숲길 등산이 시작됩니다. 이정표를 따라 들어서면 됩니다.
대공산성 입니다. 백제 온조왕이 도읍지로 정하고, 군사를 훈련시키기 위해 쌓았다는 설과 발해의 대씨(大氏) 왕조에서 쌓았다고 해 '대공산성'으로 불린다는 설이 있으나 민간에 전하는 이야기로 오류일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조선의 지리지 기록에 대부분 보현산성으로 기록돼 있기 때문에 '보현산성'으로 부르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합니다.
산성의 높이는 2.3m-2.5m, 둘레 길이는 4km에 달한다고 하니 규모도 큰편입니다.
침입해오는 적을 효과적으로 공격하기 위해 밖으로 돌출해 쌓은 치성 흔적이 보이고, 내부에는 건물터와 우물터, 성문터 등이 남아 있습니다. 또 토기 조각을 비롯해 여러 유물이 발견된다고 하니 이곳 강릉 일대 고대성의 거점임에는 분명합니다.
을미의병 때 원주에서 일어난 민용호 부대가 1896년, 이곳 대공산성에 거점을 잡고 한동안 일본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인 곳이기도 합니다. 강릉지역에서는 '대공산성', '대궁산성', '보현산성'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산성 입구에 있는 대공산성 성문터로 보입니다. 무엇을 꽃기 위해 돌을 깊게 판 흔적이 있습니다.
대공산성의 우물터 입니다. 등산로에서 만나는 샘물 치고는 매우 규모가 틉니다. 이곳에 비교적 큰 규모의 군사가 주둔했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 같습니다.
대공산성 정상으로 통하는 서문(西門)입니다. 아래쪽에 내려서면 서문 성벽이 있습니다. 정상에서 10-15분만 더 오르면 드넓은 풍차 초원이 펼쳐지는 곤신봉 능선을 만날 수 있는데 시간 관계상 풍차는 멀리서 구경하는 것으로 만족하고 오늘은 돌아섭니다. 정상부에 올라서니 단풍이 훨씬 곱습니다. 강원도 고산의 단풍은 10월 중순이면 900-500m 고지 정도를 절정으로 봐야 합니다. 저 아래 계곡으로 내려서려면 아직 일주일은 더 기다려야 합니다.
올라올때 잠시 쉬었던 쉼터 입니다. 여기서 왼쪽 등산로를 타게 되면 술잔바위를 지나 '어명정' 방향으로 하산하게 됩니다. 저는 시간관계상 그냥 왔던 길로 다시 내려갑니다.
'등산은 나의 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해 무릉계곡 단풍 산행기(삼화사-관음암-사원터 코스) (0) | 2016.10.22 |
---|---|
오대산 단풍 산행기(상원사-비로봉-상왕봉 코스) (0) | 2016.10.16 |
강릉 소금강(구룡폭포-만물상-백운대) (0) | 2016.10.02 |
강릉 삼형제봉 (0) | 2016.10.01 |
설악산 공룡능선 산행기(비선대-마등령-무너미고개-천불동 코스) (0) | 2016.09.17 |